연금상품공시
연금저축상품 가입시 유의사항을 확인해 주세요.
연금저축계좌 제도개요
구분 | 내용 |
---|---|
상품특징 |
|
연금수령 |
|
연금수령한도 | 연금수령한도 = (연금계좌의 평가액 / (11 - 연금수령연차)) × 120% |
연금外수령 | 연금수령 이외의 자금 인출(연금수령개시 전 중도해지 포함)인 경우는 연금외 수령 |
가입대상 | 제한 없음 |
중도해지 |
중도해지 하는 경우, 기타소득세(16.5%, 지방소득세 포함) 부과 단, 연금수령한도 이내는 연금소득세(5.5 ~ 3.3%, 지방소득세 포함) 부과 |
납입한도 | 전 금융기관 합산 연간 1,800만원 이내(퇴직연금계좌 및 연금저축계좌 포함) |
세액공제 |
당해년도 납입액(연금저축계좌 납입액의 400만원 한도)의 13.2%(지방소득세 포함) (단, 종합소득금액이 4천만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액 5천 500만원) 이하인 경우 납입액의 16.5%(지방소득세 포함)) |
보수, 수수료 | 약관,해당 금융회사 및 협회 연금저축 공시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계좌이체 | 계약자의 요청에 따라 다른 연금저축계좌로 이체 가능 |
계좌승계 | 가입자 사망시 배우자의 안정적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계좌 승계 가능 |
금융권별 상품특징
구분 | 은행 | 증권사 | 생명보험 | 손해보험 |
---|---|---|---|---|
상품 | 연금저축신탁 | 연금저축펀드 | 연금저축보험 | 연금저축보험 |
납입방식 | 자유납 | 자유납 | 정기납 | 정기납 |
연금형태 | 확정 | 확정 | 종신, 확정 | 확정(~25년) |
예금자보호법 | 적용 | 적용되지 않음 | 적용 | 적용 |
연금저축계좌 세제제도
구분 | 저축액 납입시 | 연금 외 수령 | 연금 수령 |
---|---|---|---|
세제종류 | 세액공제 혜택 (13.2%, 지방소득세 포함 (종합소득금액이 4천만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액 5천 500만원) 이하인 경우 납입액의 16.5%(지방소득세 포함) 세액공제)) |
기타소득세 (16.5%, 지방소득세 포함) |
연금소득세 (5.5~3.3%, 지방소득세 포함) |
- 소득세법에서 정한 의료목적 주1), 또는 부득이한 사유의 인출 주2)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연금소득세를 분리과세 합니다.
단, 해당 사유가 확인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하는 경우에 한합니다.- 주1) 의료목적인출은 금융회사가 의료비 연금계좌의 지정을 동의한 경우만 가능합니다.
- 주2) 1. 천재지변 2. 가입자의 사망 또는 해외이주 3. 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의 3개월 이상의 요양 4. 가입자의 파산선고/개인회생 5.금융회사의 영업정지, 영업 인·허가 취소, 해산결의, 파산선고
- 매년 불입금 중 연 400만원을 초과하여 납입한 금액에서 발생한 운용수익도 연금 외 수령 시 기타소득세를 부과하고,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납입금액은 기타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 연간 연금소득금액(의료목적 또는 부득이한 사유의 인출, 국민연금 등은 제외)이 1,2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득이 발생한 다음 연도에 종합소득 신고를 해주셔야 합니다.
- 위 세제 관련한 사항은 관련 세법 개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