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삼성화재는 온실가스 저감 노력을 통해 환경 · 에너지경영을 적극 실천하고 있습니다.
사회책임투자
삼성화재는 기업의 투자를 검토할 때 재무적 성과뿐 아니라 사회적 · 환경적 성과를 통합 고려하는 사회책임투자(SRI, Social Responsible Investment)원칙을 적극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 의사결정 시 철저한 네거티브 스크리닝을 통해 사행성 투자를 지양하고 공익성에 맞는 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사회책임투자로 총 3조 5,378억원을 투자하였고, 2021년에는 총 4조 6,240억원을 투자하여 2020년 대비 30.7% 증가된 규모의 사회책임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태양광 · 풍력 · 연료전지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사업 및 청정 수처리 목적의 환경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사회책임투자를 약정액 기준 10조 5,000억원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정책에 동참하고 신재생에너지 투자 및 융자 활성화를 위해 사내 전문가그룹인 기업안전연구소(舊 GLCC)와의 협업을 통해 시공 및 운영 단계 중 자연재해 위험을 조사 · 분석 · 평가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주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의 관련 전문가 초청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환경 · 에너지경영 시스템
삼성화재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준수하고 이를 경영활동에 반영하기 위하여 국내 보유 사옥을 대상으로 환경 · 에너지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국제표준인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2014년~),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2012년~)인증을 지속적으로 갱신 ·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부 활동내역
용지사용 감축 | 삼성화재는 전자약관 제공, 모바일 청약 등을 확대하여 종이 사용량 절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
---|---|
수자원 사용 및 처리 | 삼성화재가 보유하고 있는 국내사옥(총 15개)은 상수도를 용수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된 용수는 도시하수처리시설을 통해 종말 처리되며, 주변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위해성 물질은 사용하거나 배출하지 않습니다. |
출장 | 삼성화재는 업무 출장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Scope3)을 저감하기 위해 임직원들에게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불필요한 해외출장을 억제하고, 전자수단을 사용한 다자간 영상 및 음성회의 시스템 활용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 구매 | 삼성은 지속가능한 구매문화 확산을 위해 2006년 12월 친환경상품 우선구매 지침을 제정하였습니다. 삼성화재에서는 해당 지침에 따라 전산 · 사무용품 및 소모품 등 업무 관련 물품 구매 시, 친환경 인증 · 재활용 상품 및 에너지 고효율 제품을 우선 고려하여 구매하고 있으며, 환경경영교육을 통해 임직원의 일상생활에서도 친환경 상품 구매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0년 친환경 인증 상품 구매금액은 총 17.9억 원입니다. |
Eco-Office 활동 | 삼성화재는 임직원의 환경 인식을 높이고, 친환경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전 임직원에게 ON/OFF 스위치가 달린 멀티탭을 지급하여 퇴근 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ZERO 캠페인’, 임직원의 철저한 분리수거 및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를 통해 폐기물을 감축하는 ‘Go Recycle 캠페인’ 등을 전개하였으며 임직원의 행동개선을 촉구하는 ‘Nudge for Green’ 가이드라인을 배포하여 사내 PC,엘리베이터, TV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Plastic Free 캠페인’을 진행하여 사내 카페의 플라스틱 사용 절감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