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보상상식
차폭등과 미등만으로는 안전조치가 안 될까?
고장 난 차량에 차폭등과 미등으로 안전조치를 취했는데...
밤 11시. 뒤늦게 야근을 마치고 집으로 귀가하던 홍길동 씨의 차가 갑자기 멈춰 섰다. 당황한 홍 씨는 우선 편도 2차선 도로 갓길에 차를 세워두고 차폭등과 미등을 켜 안전조치를 취했다. 그렇게 견인차량을 기다리던 중, 저 멀리서 시속 50km로 달려오던 전우치 씨의 차가 홍 씨의 차를 그대로 들이받았다. 홍 씨는 전 씨가 ‘분명히 안전조치를 봤을 텐데도 속도를 줄이지 않은 것’이라고 판단해 화를 버럭 냈다. 그런데 이 무슨 황당한 시추에이션인가? 전 씨가 되레 화를 내는 것이 아닌가? 전 씨에게서 돌아온 답변은 홍 씨가 안전조치를 미흡하게 취해 과실이 있다는 주장이었다.
홍 씨는 안전삼각대가 없는 상황에서 차폭등과 미등만으로 비상상황임을 알려 충분히 안전조치를 취했다며 과실이 없음을 주장했다. 하지만 전 씨는 전방이 잘 보이지 않는 어두운 밤, 게다가 가로등도 없는 곳에서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홍 씨의 과실을 주장하고 있다.
팽팽하게 날이 선 두 사람, 과연 누가 맞을까?
과실비율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미흡한
안전조치는 과실로 인정!
- 단순한 안전조치를 취한 홍길동 씨에게 과실 20%
- 차량 고장 등으로 갓길에 차량을 세우는 경우 단순한 미등 조치만으로 안전조치를 취했다고 볼 수 없다. 더군다나 사고가 발생한 곳은 어두운 밤의 가로등도 없는 곳. 따라서 후미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은 홍길동 씨에게 분명 과실이 있다.
안전조치 불이행에 따른 20% 정도의 과실이 인정된다. - 사고 발생 상황에 따른 과실 비율
- 일반 도로에서 사고 시각이 주간이었다면? 과실없음
안전조치시야 확보 어려운 야간에는
충분한 안전조치가 필수
한국도로공사 통계에 의하면 고장 정차한 차량 추돌사고가 전체 2차 사고 발생률의 25%를 차지하고, 야간 사고 발생률은 무려 73%로 나타난다. 따라서 차량이 멈췄을 경우, 안전조치를 발 빠르게 취하는 게 중요하다. 이때, 차량이 멈춘 지점의 환경이나 시각을 살펴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하는 걸 잊지 말자.
- 안전삼각대는 도로 주행 기본 매너!
- 자동차용 안전삼각대를 후방에서 접근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 어두운 밤에는 불꽃 신호를!
- 후미의 운전자가 사방 500m 지점에서 고장 난 차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색 섬광신호·전기제등 또는 불꽃 신호를 추가로 설치한다.
차가 고장 났을 때, 이렇게 하세요!
- STEP 01비상등을 켜고 주변 교통상황을 살피면서 갓길로 차량을 이동한다. 만일 차가 멈춰 움직이지 않을 경우 비상등을
켜고 보닛이나 트렁크를 열어 놓는다. - STEP 02차량 뒤쪽에 안전삼각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불꽃 신호를 추가로 설치한다.
- STEP 03운전자 및 탑승객은 안전지대나 가드레일 밖으로 대피한다.
- STEP 04보험회사 혹은 견인차량 업체에 신고한다. 필요하면 경찰에도 알린다.
- STEP 05안전지대나 가드레일 밖에서 신호 유도봉이나 밝은색의 옷을 흔들어 뒤에 오는 승용차들에게 조심하라고
신호를 보낸다. 이때 차도에서 맨손으로 수신호를 하는 것은 위험하다.
잠깐이 사고를 부른다! 상황에 따른 주정차 사고 예방법
- 1. 잠깐 세워두어서 주차가 아니라고?
- 홍길동 씨는 담배를 사려고 차를 잠깐 세워두었다가 주차위반 딱지를 뗀 적이 있다.
당황하여 하소연해보았지만 돌아온 것은 교통경찰의 따끔한 충고였다.
“주차란, 정차 상태가 5분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합니다. 주차에 대한 개념을 바로 알기 바랍니다.” - 2. 갓길 주차는 대단히 위험
- 차량을 5분만 세워 둬도 주차라는 사실은 갓길에서도 마찬가지.
코너를 돌고 갓길에 들어섰다가 세워둔 차량을 발견하지 못하고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잠은 갓길이 아닌 휴게소에서 취할 것.
갓길 교통사고가 일반 교통사고보다 사망률이 4배나 높다는 것을 명심하자. - 3. 경사진 곳은 위험하니 조심 또 조심!
- 잠깐 차에서 내릴 때 꼭 체크해야 할 것이 있다. 완만하더라도 경사진 곳인지 확인하자.
주차가 아니랍시고 기어를 중립에 그대로 두는 것은 사고를 부르는 지름길이다.
반드시 기어를 주차 상태에 두고 보조 브레이크까지 당기자.
경사가 좀 더 가파르다면 바퀴에 벽돌 등을 받쳐두는 것이 좋다.
"유형별 과실은 도로상황이나 교통흐름 등에 따라 다소 상이해질 수 있으며 본 자료는 참고자료이므로 법적효력은 갖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