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FD

TCFD(Task Force on Climate 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를 위한 테스크포스)는 FSB(Financial Stability Board, 금융안정위원회)가 설립한 태스크포스로 지배구조/전략/리스크 관리/관리 지표 및 목표 등 4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회사의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공개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삼성화재는 TCFD 지지 선언을 완료하였으며, 권고안에 따른 공시를 통해 기후변화와 관련한 리스크 및 기회를 비즈니스에 통합하고 있습니다.

TCFD Index

TCFD 권고안 삼성화재 현황
지배구조 -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평가, 관리하기 위한 조직의 지배구조
a)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에 대한 이사회 차원의 감독

이사회 차원에서, 중장기적인 기후변화 대응 방향 수립 및 회사의 ESG 경영에 대한 감독 등 최고 의사결정기구 역할수행

b)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경영진의 역할

CEO가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에 대한 관리를 총괄하고, CFO가 재무적 관점의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를 관리함

전략 -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가 조직의 사업, 전략, 재무 계획 수립에 미치는 실질적 및 잠재적 영향
a)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측면의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
  • 장기/일반/자동차보험 각 부문에서, 홍수·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물리적 리스크가 발생,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보험금 청구의 증가로 손해율 상승을 야기함
  •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변화로 인한 새로운 보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발생은 새로운 기회로 인식되며, 관련 상품 및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향후 정부가 국가 탄소중립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배출 관련 규제 및 법령 강화 시, 법률 시행에 따른 비즈니스적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b)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가 조직의 사업, 전략 및 재무 계획에 미치는 영향
  • 풍수해보험, 날씨보험, 주행거리연동 자동차보험 등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보험 상품을
    제공 중이며, 관련 상품 라인업 확대 계획 수립
  • 다양한 전환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탄소 과배출 등 기후변화에 일조하는 투자 자산의 축소 및 친환경 투자 자산 확대 등 전반적인 포트폴리오 조정 활동 진행
c) 2°C 이하의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후변화와 관련된 시나리오를 고려한 전략
  • 내부탄소가격을 설정하고, 자발적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를 통해 다양한 감축 활동을 진행하며,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함으로써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
  • 환경·에너지경영 실행을 통해 국제 표준 인증 시스템인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과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 취득
리스크 관리 -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 요인을 식별, 평가, 관리하는 방법 및 프로세스
a) 기후변화 리스크를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
  • ESG 실무조직인 ESG 사무국과 각 부문 유관 부서(보험 인수 및 투자 결정 관련 부서 등) 실무자들이 관련 리스크에 대한 식별 및 평가 진행
  • 사내 조직인 기업안전연구소(Global Loss Control Center)에서 자연재해 누적위험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객사의 자연재해 취약점 및 대안 발굴을 지원. 자체적으로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고객사에 실시간 태풍 정보 제공 및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강수량 변화 정보를 제공
b) 기후변화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 탈석탄 원칙 선언 후 석탄발전에 대한 신규 투자를 중단하고 직접적 투·융자뿐 아니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목적의 회사채에도 투자하지 않음
  • 보험 언더라이팅 가이드라인 내 기후변화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계약자/피보험자의 보험 인수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석탄채굴시설 등)를 제한하는 지침을 보유
c) 기후변화 리스크를 식별, 평가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의 조직 전반의 리스크 관리 체계 통합

기후변화 관련 실무진의 리스크 식별 및 평가 진행 후 이사회와 경영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심의·의결·감독 진행

관리 지표 및 목표 -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와 감축 목표
a)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지표

내부탄소가격,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친환경 보험상품 매출, 친환경 투자액

b) Scope 1, Scope 2, Scope 3
(해당되는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 직접배출, Scope 2 간접배출, Scope 3 임직원 출장, 용수사용, 용지사용, 폐기물발생으로 인한 배출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는 ESG 보고서를 통해 매년 공시

c) 기후변화 리스크, 기회와 성과를 관리하기 위한 목표

2011년(기준연도)부터 자발적으로 2020년까지 기준연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중장기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수립하여 달성 완료